본문 바로가기
경제

경제용어 700선 - 부가가치유발계수/부가가치계수, 부동화/무권화, 부실채권정리기금

by myebook 2023. 11. 18.

오늘은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경제용어 700선 - 부가가치유발계수/부가가치계수, 부동화/무권화, 부실채권정리기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제용어 700선 - 부가가치유발계수/부가가치계수, 부동화/무권화, 부실채권정리기금
경제용어 700선 - 부가가치유발계수/부가가치계수, 부동화/무권화, 부실채권정리기금

 

 

 

 

 

부가가치유발계수/부가가치계수

  소비, 투자, 수출 등 최종수요의 발생이 국내생산을 유발하고 생산 활동에 의해서 부가가치가 창출되므로 최종수요의 발생은 부가가치 창출의 원천이 된다. 산업연관표를 이용하면 최종수요와 부가가치와의 기능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바, 최종수요가 한 단위 발생할 경우 국민경제 전체에서 직/간접으로 유발되는 부가가치 단위를 보여주는 계수가 부가가치유발계수(value added inducement coefficients)이다. 예를 들어 농림수산품의 부가가치계수가 0.9라는 것은 농림수산품에 대한 최종수요가 한 단위 발생할 경우 직/간접으로 유발되는 부가가치가 0.9단위임을 의미한다. 한편, 각 산업별 부가가치유발계수와 수입유발계수의 합은 항상 1이 된다. 이에 대한 의미를 국밈경제 전체적으로 보면 최종수요 총액에서 수입을 차감하여 나타낸 지출국민소득이 생산국민소득인 부가가치 총액과 항상 일치하고 있는 점과 그 원리를 같이 하고 있다. 

 

연관검색어 : 생산유발효과

 

 

 

부동화/무권화

  증권의 부동화(immobilization)란 실물증권을 중앙예탁기관에 집중 보관하여 매매거래 또는 담보거래 등에 따른 증권의 권리이전을 계좌대체 방식으로 처리함으로써 증권의 실물인도의 필요성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즐권실물은 이동하지 않고 예탁기관의 장부상 대차기재에 의하여 증권에 대한 권리가 이전됨으로써 실물증권 이동에 따른 분실/도난의 위험성, 사무처리의 번잡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증권의 무권화(dematerialization)란 유가증권에 대한 권리를 표시하는 실물증권을 발행하지 않고 증권에 대한 권리가 오로지 장부(발행기관 및 중앙예탁기관의 계좌)상에 전자기록 형태로 존재하도록 하여 신주발행 및 증권유통에 따른 권리를 이전하는 것을 말한다.

 

연관검색어 : 중앙예탁기금

 

 

 

부실채권정리기금

  [금융회사 부실자산 등의 효율적 처리 및 한국자산관리공사의 설립에 관한 법률]('97.8.22일 제정) 제38조에 의거 금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부실채권의 효율적인 정리를 위하여 한국자산관리공사에 한시적(5년)으로 설치/운용하였다. 2013.2.22일자로 종료되었다.

 

 

 


오늘은 부가가치유발계수/부가가치계수, 부동화/무권화, 부실채권정리기금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연관검색어의 내용까지 이해한다면 더 이해가 잘되겠죠?

 

한국은행 사이트에서 전체 PDF를 다운로드 하실 수도 있습니다.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PDF 다운로드 하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