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에서 발행 한 경제용어 700선 - 수입유발계수, 수입징수관/지출관, 수출경합도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입유발계수
최종수요가 한 단위 증가할 때 각 산업부문에서 직/간접으로 유발되는 수입액 단위를 말하는 것으로 형태에 따라 산업별 수입유발계수와 최종수요항목별 수입유발계수로 나뉜다. 산업별 수입유발계수는 수입투입계수표에 생산유발계수표를 곱하여 구하고 최종수요 항목별 수입유발계수는 소비, 투자, 수출 등 항목별 최종수요에 의한 수입유발액을 최종수요액으로 나누어 산출한다.
연관검색어 : 생산유발효과
수입징수관/지출관
국고금의 수입과 지출은 일정한 요식행위인 국가기관의 명령행위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국고금의 수입과 지출행위를 결정(명령)하는 국가회계기관은 국고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나 크게 수입을 담당하는 수입징수관과 지출을 담당하는 지출관으로 구분한다. 이들 수입징수관과 지출관을 명령기관이라 하며 명령기관의 명령행위에 따라 국고금의 실질적인 출납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는 출납공무원 및 한국은행이 이를 수행한다. 수입징수관은 각 중앙관서의 장으로부터 수입징수에 관한 사무를 위임받은 공무원으로서 관련법령의 규정에 따라 수입금을 조사/결정하여 납입고지를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지출관은 각 중앙관서의 장이 소속 공무원 중 국고금 지출과 관련하여 임명한 회계직공무원으로서, 국고금 지출원인이 되는 계약 등의 지출원인행위를 하는 공무원인 재무관으로부터 지출원인행위 관계서류를 송부받아 국고금 지출행위를 수행한다. 따라서 지출관은 재무관을 겸직할 수 없다.
수출경합도지수
특정 국가(Z)에 상품을 수출하는 두 국가(X와 Y)의 수출구조가 비슷할수록 경쟁도가 커진다는 가정 하에서 이들 국가가 Z국 시장에서 직면하는 경쟁의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동 지수는 X국과 Y국의 특정 상품이 각각의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하여 작은 값을 선택하되 모든 상품에 대해 합산한 후 100을 곱하여 계산한다. 따라서 수출경합도지수(ESI; Export Similarity Index)가 100으로 두 국가의 수출구조가 완전히 일치하면 경쟁도가 가장 높은 상황에 있음을, 반대로 지수가 0으로 두 국가의 수출구조가 완전히 다르면 경쟁도가 가장 낮은 상태에 있음을 각각 의미하게 된다.
연관검색어 : 현시비교우위지수(RCA)
오늘은 수입유발계수, 수입징수관/지출관, 수출경합도지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꾸준히 알아가는게 재미나네요.
오늘도 공부한 당신, 응원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700선 - 숨은 그림(은화), 슈퍼301조, 스마트계약 (1) | 2023.12.19 |
---|---|
경제용어 700선 - 순안정자금조달비율, 순이자마진(NIM), 순이체한도제 (0) | 2023.12.19 |
경제용어 700선 - 수쿠크, 수확체감의 법칙, 순상품교역조건 (0) | 2023.12.16 |
경제용어 700선 - 수출보험, 수입물가지수, 수입물량지수 (0) | 2023.12.16 |
경제용어 700선 - 속물효과(스놉효과), 수요견인 인플레이션, 수요탄력성 (0) | 2023.12.12 |
경제용어 700선 - 소비자물가지수(CPI), 소비자심리지수, 소액결제시스템 (0) | 2023.12.11 |
경제용어 700선 - 소득주도성장, 소비의 비가역성, 소비자동향지수(CSI) (1) | 2023.12.08 |
경제용어 700선 - 세계은행(World Bank), 소득5분위배율, 소득교역조건/소득교역조건지수 (1) | 2023.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