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데이터 전송방식 중 하나인 회선 교환 방식에 대한 정의와 장점과 단점 그리고 특징과 역할과 원리 그리고 응용분야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회선 교환 방식 이란?
회선 교환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중 하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두 사용자 간에 전용된 경로(회선)를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회선 교환 방식의 정의
회선 교환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전용 경로(회선)를 설정하고 유지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두 지점 간에 연결이 확립되어 있어 데이터가 해당 경로를 통해 전송됩니다.
회선 교환 방식의 장점
1. 신뢰성: 전용된 회선을 통해 데이터가 안정적으로 전송됩니다.
2. 고정된 대역폭: 사용자는 고정된 대역폭을 이용하여 품질이 일정합니다.
3. 순서 보장: 전송된 데이터는 회선을 따라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순서가 보장됩니다.
회선 교환 방식의 단점
1. 자원의 비효율성: 회선은 예약된 시간 동안 사용되기 때문에, 통화 또는 통신이 없는 동안에도 회선은 사용 중이어서 자원이 낭비될 수 있습니다.
2. 설정 지연: 새로운 통신을 위한 회선 설정에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3. 비용: 회선 교환은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습니다.
회선 교환 방식의 특징
1. 고정 경로: 두 지점 간의 연결은 설정된 경로(회선)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2. 신뢰성: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통신을 제공합니다.
회선 교환 방식의 역할과 원리
1. 역할: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통신을 제공하여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2. 원리: 사용자가 통신을 시작하면 경로(회선)가 설정되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통신이 완료되면 해당 회선은 다른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해제됩니다.
회선 교환 방식의 응용 분야
1. 전화 통신: 초기에는 주로 전화 통신에서 사용되었습니다.
2.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중요한 응용: 실시간 통화, 실시간 데이터 전송, 의료 이미지 전송 등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중요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회선 교환은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통신을 제공하지만, 자원의 비효율성과 설정 지연으로 인해 현재는 패킷 교환 방식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회선 교환 방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요즘에는 많이 쓰이지 않지만, 예전에는 아날로그 집전화기에서 손으로 다이얼 돌리던 방식을 생각하고 전화 교환원이 있었던 것을 생각하면 기억하기 쉬운 것 같습니다. 오늘도 공부한 당신, 응원합니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액세스 포인트 란? (1) | 2023.11.15 |
---|---|
라우터 란? (0) | 2023.11.14 |
패킷 교환 방식 이란? (0) | 2023.11.11 |
포트번호 란? (0) | 2023.11.09 |
ARP란? (0) | 2023.11.08 |
MAC 주소란? (0) | 2023.11.07 |
IPv4와 IPv6의 차이점 (0) | 2023.11.06 |
IP 주소 란? (0) | 2023.11.02 |